본문 바로가기
💻 컴퓨터, IT 공부

📘 블록체인 개념 ④ – 합의 알고리즘이란? PoW와 PoS가 무엇일까?

by minheestory 2025. 4. 1.

 

안녕하세요 민희입니다. 오늘은 합의 알고리즘에 대해서 공부 해 보았어요.

 

블록체인은 중앙 관리자가 없는 시스템입니다 :)

따라서, 거래가 맞게 이루어 진 것인지, 누가 기록했는지, 진짜 블록이 맞는 것인지 등의 의문이 생길 수 있어요.

이런 의문이 없게 모든 참여자들이 동의(합의)를 해야 다음 블록 체인에 연결될 수 있어요.

 

그래서 나온 용어가 “합의 알고리즘” 입니다.

 

합의 알고리즘이란?

"이 블록이 진짜라는 걸 우리 모두가 어떻게 인정할지 정하는 규칙"

합의 알고리즘에는 PoW (작업 증명) 와 PoS (지분증명)이 대표적으로 사용되어요.

 

🔨 PoW (Proof of Work, 작업 증명)

 

💡 개념 누가 먼저 퍼즐을 풀었는가?로 결정
🔍 방식 컴퓨터가 해시 퍼즐을 엄청 많이 계산해서 가장 먼저 성공한 사람이 블록 생성
💰 보상 채굴자에게 암호화폐 지급 (비트코인 등)
⚠️ 단점 속도 느림, 전기 소모 큼, 고성능 컴퓨터 필요

예시 :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 PoS (Proof of Stake, 지분 증명)


💡 개념 누가 얼마나 많은 코인을 오래 보유했는가?로 결정
🔍 방식 많은 코인을 가진 사람이 우선권을 갖고 블록 생성
💰 보상 블록 생성자에게 코인 지급 (채굴 없이!)
✅ 장점 에너지 효율 👍, 일반 컴퓨터도 참여 가능

예시 : 이더리움 2.0, 솔라나, 폴카닷 등

 

근데 여기서 드는 생각 !

그럼 코인을 많이 가지고 있으면 계속 블록을 생성할 수 있고, 그럼 또 그 사람이 코인을 받아가는거 아냐?

부의 불평등 아니야? 라는 생각이 드시지않나요? (저는 그런 생각을 했습니다..^^)

이런 불평등을 해결하고자 아래와 같은 장치가 등장 했다고 하네요.

 

여기까지 이해가 잘 되셨을까요?

그럼 이제 합의 알고리즘의 두 방식에 대해 비교 해볼게요!

 

 

 

⚖️ PoW vs PoS 차이 비교


 

 

블록체인마다 목적이 달라서 다양한 합의 알고리즘이 존재합니다.

  • 비트코인 → 보안 최우선, 그래서 PoW (작업 증명 방식)
  • 이더리움 → 친환경 + 속도 개선, 그래서 PoS 전환 (지분 증명 방식)

 

🧠 오늘의 정리

 

블록체인은 중앙처리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모두가 동의하는 방식 (합의 알고리즘)" 이 필요해요.

그 중 가장 대표적인 방식이 PoW (작업 증명방식)과 PoS (지분 증명방식)입니다.

 

 

추가적으로, 채굴자는 블록체인을 보상으로 받기 위해 채굴을 하고 있어요.

보상으로 원하는 코인의 종류와 난이도를 보고 원하는 곳의 해시 값을 찾는거죠.

또한 블록체인이라고 해서 모두가 다 암호화폐와 연결되는것은 아닙니다.

정부기관, 사기업에서 쓰이는 블록체인은 일반 참여자들이 채굴하지 않아도 사용이 가능해요.

 

여기까지 이해가 잘 되셨길 바라요!

더 흥미로운 이야기로 또 올게요 :)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